본문 바로가기

REVIEW/인물/평전

한국 축구의 영웅들 :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 7인 열전 - 대한축구협회 엮음 | 랜덤하우스코리아(2005)

한국 축구의 영웅들 :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 7인 열전 - 대한축구협회 엮음 | 랜덤하우스코리아(2005)


오늘날 많은 이들이 축구를 염려한다. 근대성(modernity)을 성찰하는 이들은 축구가 근대의 산물이라며, 민족국가의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을 염려한다. 또 반자본주의 활동가들 중에는 연원이 제법 오래된 3S(Sex, Screen, Sports)정책이나 최근 신경제의 새로운 조직이론, ‘연방주의(federalism)'의 최첨단이자 모태로서 FIFA라는 - 스포츠정신이나 도덕과는 별로 상관없어 보이는 - 조직을 연구한다. 축구를 사랑하는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나 최근 대한민국 사회에서 축구는 주목할 만한 문화적 현상이다.


축구는
정말 근대의 산물이었을까? 이 문제에 답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일이다. 서구에서 축구는 중세 이래 여러 지역에서 카니발 같은 행사의 여흥을 돋우는, 혹은 제의적 행사로 치러졌다. 우리나라 역시 지금의 축구와는 다른 것이었겠지만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시대 삼국 통일의 주역이었던 김유신과 김춘추가 ‘축국(蹴鞠)’이란 놀이 형태의 공차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어쩌면 축구란 융의 원형상징처럼 세계의 모든 민족의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대~한민국”
에서 근대축구의 시작은 인천(제물포)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1882년 6월 인천항에 정박한 영국 군함 플라잉 피쉬(Flying Fish)호의 승무원들이 제물포에서 축구하는 것을 아이들이 구경하면서 한국에 근대 축구가 전파되었다. 인천은 한국 축구 월드컵 첫16강의 산실이자 동시에 한국 축구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또 역사적으로 보자면 한국의 근대 축구는 아르헨티나보다는 늦었지만 브라질이나 러시아보다는 좀더 이른 시기에 축구를 접했다. 다소 우스운 말이지만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보다 한국이 축구의 역사에 있어서는 선배 격인 셈이다.


대한축구협회
가 엮은 『한국축구의 영웅들』은 그런 한국 축구의 역사 속에서 빛나는 7명을 선정해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펴낸 책이다. 지난 2002년 한․일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이후 우리는 우리들 자신의 축구 역사를 되돌아 볼 자신감과 여유를 얻었다. 내가 기억하는 한 1982년 미스유니버스 선발대회, 1988년 올림픽 그리고 2002년 월드컵은 대한민국이 치른 국제행사들 가운데 가장 주목해서 살펴볼 만한 것들이다. 광주민중항쟁을 처참하게 진압한 군사정권이 그 피가 채 마르기도 전에 세계의 미인들을 데려다 치른 행사, 정권 차원에서 준비하고, 민주화항쟁의 뜨거운 열기가 가시기 전에 치러진 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은 여러 차원에서 다른 행사였다.


국민이라 부르든
, 민중이라 부르든 혹은 대중이라 부르든 그 주체의 설정 문제와 상관없이 우리들이라 이름 붙일 수 있는 자들이 절박한 욕구나 시대적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이유로 거리로 쏟아져 나와 그야말로 난장(亂場)을 치른 것은 고려시대 팔관회(八關會)에서 가무백희(歌舞百戱)를 즐긴 이래 최초의 일이 아닐까 싶다. 1902년 배재학당에 최초로 근대적 축구부를 만든 것을 기점으로 삼더라도, 지난 2002년 월드컵 4강은 한국 축구 100년사를 기념하는 의미 있는 축제이기도 했다.


『한국축구의 영웅들』
은 그런 의미에서도 한국 축구 100년사를 정리하는 의미 있는 작업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정된 한국 축구 영웅 7인의 이야기를 열전 형태로 기록하고 있다. 우선 가장 첫 번째로 손꼽히는 인물이 1936년 베를린올림픽 본선에서 일본대표팀의 유일한 한국 선수로 나섰던 故 김용식 옹이다. 그는 지난 2004년 5월에 FIFA로부터 FIFA 100년 기념 공로상(FIFA Centenial Order Of Merit)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종교는 축구라고 자부했다. 김용식은 젊었을 때 훌륭한 축구 선수가 되기 위해 첫째 술이나 담배에 일절 손대지 말고, 둘째 여자를 멀리하고, 셋째 마흔 살이 될 때까지 현역으로 뛸 것이며, 넷째 훌륭한 선수가 되기 위해 어떤 경우에도 교만하지 말고 겸손할 것을 스스로에게 서약했다. 물론 그는 이 모든 서약을 철저하게 지켰고, 마흔 세 살 까지 현역 선수 생활을 했다.


『한국축구의 영웅들』
은 인물을 중심으로 한 열전의 형태이지만 동시에 당시 시대상을 함께 엿볼 수 있게 꾸며져 있다. 예를 들어 김용식 편에서 우리는 당시 중등부 팀이었던 경신이 극동경기대회에 일본 대표로 참가하고 돌아가던 길에 조선에 들른 와세다 대학 축구팀에게 4:3으로 승리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승승장구하던 김용식이 광주 학생운동에 연루되어 결국 퇴학당하고 말았던 사실도 알게 된다. 그런 그가 베를린 올림픽에 일본 국가대표팀의 유일한 조선인 선수로 참가해야만 했던 심정은 어땠을까.


한국 축구의 역사
속에 영광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 책에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스웨덴전에 0:12로 패패, 1954년 스위스 월드컵 헝가리전에서 0:9로 패하면서 가슴에 피멍이 들도록 한국 축구의 유년기를 지켜낸 골키퍼 홍덕영의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또 조금만 더 좋은 시대에 태어났다면 세계적인 스트라이커로 명성을 떨칠 수 있었던 한국 축구 스트라이커 계보사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이회택과 경제개발 시대 국민적 기대와 열망을 안고, 해외로 송출된 차범근, 축구계 인사들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덜 알려진 편이었던 국제심판 김화집 등의 이야기가 감동적으로 펼쳐진다.


한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는
벽안의 외국인 거스 히딩크도 있다. 벽안의 이방인 히딩크가 한국 축구와 인연을 맺은 것은 불과 1년 6개월이었지만 그가 남긴 족적은 같은 네덜란드인이었던 하멜이나 박연이 남겼던 것과는 확연하게 다른 것이다. 그리고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을지도 모를 인물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회장의 이야기도 있다. 물론 공과를 따지기에 앞서 정몽준의 공적은 인정받을 만하지만 자신이 재임하는 중에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남기는 것은 그 선정과정이 아무리 엄정했다 하더라도 좋은 선례라고 보기엔 아쉬움이 남는다.


근대 축구의
종가라 할 수 있는 영국에서 축구는 근대산업문명을 거치면서도 여전히 과거의 민중(folk)적 놀이문화의 전통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여가의 상업화’, 자본주의적 레저 활동과는 일정하게 구분되는 면모를 지닌다. 아마도 그와 같은 노동자 문화의 전통이 오늘날 영국 사회의 뿌리 깊은 축구 사랑의 원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현대라 부르는 시대, (근대)문화의 대부분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일부 역사학자들의 주장을 100% 수용하지는 않더라도 일본에 의해, 혹은 일본과 겨루는 과정에서 - 물론, 그것이 시혜적인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당연한 만큼 - 강력하게 축적된 것들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증거가
또한 축구다. 많은 이들이 한국축구에서 국가주의의 증거를 발견하려고 한다. 그런 증거로 제시될 수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국가대표축구의 인기와 비례하지 않는 프로축구다. 하지만 이런 현상을 전적으로 국가주의의 결과물로만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왜냐하면 한국에서의 축구문화는 지역(성)이 과소하고, 중앙이 과대화된 현실의 반영체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중앙의 문화흡인력에 저항할 수 있는 지역(이웃)문화의 부재가 축구에서 나타나 자신의 귀속대상을 찾지 못한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에게 이보다 더 중요한 사실 한 가지는 한 사회의 행복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존재가 필요하며(체제나 시대가 바뀌어도) 그것이 축구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동시에 축구에 열광하는 이들을 우민(愚民)시 해야 할 만큼 우리 사회의 대중이 덜 떨어진 존재가 아니라는데 희망을 걸어보면 안될까. 우리가 국민이라는 단일한 호명의 대상으로만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아마도 축구와 축구를 즐기는 민중들은 자본주의 시대보다 힘이 세고 더 오래 갈 테니 말이다.